" 3개월 간 돈 무제한 푼다! " 

 

 

# 현재 상황은요

 

한국은행이 '무제한 돈 풀기' 카드를 꺼냈습니다. 

한국은행은 6월 말까지 매주 화요일 91일 만기의 RP를 일정 금리 수준에서 매입하기로 했습니다.

이는 한도 제약 없이 모집 전액을 배정하는 방식으로 첫 입찰은 4월 2일입니다. 

 

금융기관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자금을 공급하는 형태로, 

정기적으로 제한 없이 유동성을 공급한다는 점에서 사실상 양적완화로 볼 수 있습니다. 

앞으로 3개월  금융기관이 요구하는 만큼 돈을 풀기로 했다는 것은, 그만큼 위기감이 크다는 뜻이겠지요.  

 

자료: 파이낸셜 뉴스


# 환매조건부채권(RP)은 무엇인가요?

 

'환매하는 채권',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구매자로부터 되사는 조건으로 판매하는 채권'을 뜻합니다.

채권은 만기 시 발행 주체로부터 정해진 금액을 돌려받을 수 있는 차용증서의 일부입니다.

그러한 채권에 환매(되사는) 조건을 붙여 판매하는 것이 RP입니다. 

흔히 유동성을 조절하는 수단으로 한국은행에서는 시중에 풀린 통화량 조절하거나

예금은행의 유동성 과부족을 막기 위해 발행합니다. 

 

 

# 양적완화는 무엇인가요?

 

‘양적으로 돈을 완화한다’, 간단히 말해 

‘돈을 찍어내고, 시장에 풀어서 현금의 유통을 확대한다’는 뜻입니다.
중앙은행이 돈을 찍어내고 시중에 있는 채권을 매입하는데, 그 시중이라는 것이 정부나 은행을 의미합니다.

그럼 정부와 은행에 돈이 들어가겠지요? 

'양적완화'는 그 돈으로 다시 투자해 유동성을 시중에 공급하고 경기를 부양시키는 통화 정책을 의미합니다.

 

 

# 배경은요?

 

한은이 특단의 조치를 내놓은 것은 통상적인 방식만으로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을 해소하긴 어렵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또한 시중은행과 정책금융기관이 지원할 수 있는 데에도 한계가 있습니다.

이에 한은은 실물ㆍ금융 충격을 완화하는 차원에서 돈을 풀기로 했습니다. 

 

 

# 양적완화의 효과와 부작용은요?

 

한은이 무제한으로 유동성을 공급하기로 한 것은 사상 처음으로,

과거 IMF 외환위기나 2008년 금융위기 때에도 없었던 조치입니다.


사들이는 채권의 한도를 미리 정해두지 않고 시장 수요에 맞춰 전액 공급한다는 점에서

자금난이 일부 해소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하지만 추후 시중에 풀렸던 자금으로 인해 물가 상승과 화폐 가치 하락 등의 후유증을 동반할 수도 있습니다.

 

 

 

 

https://alphasquare.co.kr/home/stock/stockinfo?code=005930?source=tistory

 

알파스퀘어(AlphaSquare) - 스마트한 당신의 주식투자

주식정보 | 종목발굴 | 전략공유 등 알파스퀘어만의 ‘All In One’ 스마트 주식투자 플랫폼

www.alphasquare.co.kr

 

# 1분기에 이어 2분기도 역성장이라면?

 

# 현재 상황은요

 

S&P는 23일 '아시아 태평양 지역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한국은 올해

GDP 성장률이 약 마이너스 0.6% 역성장할 것이라고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S&P는 지난 5일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을 기존 1.6%에서 1.1%로 내려 잡았습니다.

이어 23일 다시 전망치를 1.7% 포인트 끌어내렸습니다.

이는 지난해 내놓았던 올해 성장률 전망(2.1%)과 비교하면 2.7% 포인트 대폭 낮춘 것입니다.

 

 

 

자료 : 중앙일보

 


 

# 성장률 전망을 낮추는 배경은요?

 

코로나19의 후폭풍으로 경제의 중심인 내수와 수출 모두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S&P는 특히 내수 부진이 심각할 것이라며 올 물가상승률이 마이너스 0.4%를 기록할 것이라고 내다봤는데요. 

수출은 지난해 워낙 좋지 않아 나아지는 모습이지만,

코로나19가 본격 반영되는 이달 말부터는 부진을 면치 못 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합니다.

 

# 정부의 대책은요?

정부는 경기 부진의 장기화를 막기 위해 11조 7000억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했습니다.

한국은행도 지난 16일 기준금리를 기존 1.25%에서 0.75%로 0.5% 포인트 내리는 ‘빅 컷’을 단행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정책도 성장률을 끌어올리기는 역부족이라는 진단이 나왔습니다. 

 

# 역성장이 지속된다면요?

1분기에 이어 2분기까지 역성장할 경우 ‘경기침체’ 국면을 맞게 됩니다. 

국제신용평가사 피치는 한국 성장률이 올해 1분기(-0.6%)와 2분기(-0.9%)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해

경기침체에 해당할 것으로 내다보았습니다.

한국 경제가 2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경우는 2003년 1·2분기 이후 유례가 없습니다.

향후 국내 성장률 전망은 코로나19 사태의 지속기간을 얼마나 줄일 수 있는지에 크게 달려 있습니다.

또한 시민 안정 정책에 집중하면서 단기·중기·장기적인 경제정책을 마련해 제때 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입니다.

 

 

 

https://alphasquare.co.kr/home/stock/stockinfo?code=015760?source=alphasquare

 

알파스퀘어(AlphaSquare) - 스마트한 당신의 주식투자

주식정보 | 종목발굴 | 전략공유 등 알파스퀘어만의 ‘All In One’ 스마트 주식투자 플랫폼

www.alphasquare.co.kr

 

+ Recent posts